경기도,, ‘소아질환 진단·치료용 콘텐츠’ 개발 착수
상태바
경기도,, ‘소아질환 진단·치료용 콘텐츠’ 개발 착수
  • 전철규 기자
  • 승인 2014.05.23 08: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도지사 김문수)와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22일 경기 문화창조허브(판교)에 디지털선도형 콘텐츠코리아 랩 3호를 개소하고, ‘소아질환 진단·치료용 콘텐츠’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미래부 디지털선도형 콘텐츠코리아 랩은 1인기업 또는 예비창업자 등으로 이루어진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콘텐츠 제작과 사업화 전 단계에 걸쳐 수요자가 원하는 사항을 선택하여 지원받는 ‘카페테리아식’ 지원(제작비 지원, 법률.회계 등 전문가 컨설팅, 기술지원, 해외마케팅 지원 등)사업이다.

경기도는 UHD 다큐멘터리 제작 프로젝트 랩 1호를 지난 해 12월 부천시에 개소했으며, 이번에 개소하는 3호 랩에서는 금년말까지 소아약시, 심장질환,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어린이 환자들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서 친근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을 통해 자신의 병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콘텐츠를 개발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경기문화창조허브에 사무공간 및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며, 미래부에서는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비롯하여, 기획·제작·유통 단계에서의 전문가 컨설팅 등 필요한 사항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또한, ㈜카카오에서는 미래부·문체부와 연계한 모바일·스마트콘텐츠 상생발전 1호 프로젝트로 콘텐츠 제작·유통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을 지원할 예정이며, 서울대 어린이병원과 아주대 병원에서도 의료자문과 콘텐츠 보급·활용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개발이 완료된 콘텐츠는 활용을 위해 필요한 행정절차를 거쳐 서울대 어린이 병원과 아주대병원의 어린이 환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며, 이후 다른 질환과 의료기관으로까지 콘텐츠 개발과 보급·활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ICT와 융합한 디지털콘텐츠가 창업희망자들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디지털선도형 콘텐츠코리아 랩 3호의 성공적인 운영을 통해 아픈 어린이들과 부모님들의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