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부천시 등 10개 지자체,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예정지서 건의문 채택
상태바
화성시, 부천시 등 10개 지자체,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예정지서 건의문 채택
  • 전철규 기자
  • 승인 2013.12.26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성시, 부천시 등 10개 지자체,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예정지서 건의문ⓒ경기타임스

“종합장사시설 건립, 이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화성시 등 장사시설이 없는 10개 자치단체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예정지서 건의문을 채택했다.

화성시, 부천시 등 9개 지자체(안산, 안양, 평택, 시흥, 의왕, 광명, 군포, 과천)는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공동형에 한해 국·도비 지원 확대 등 정부의 역할확대를 요청하는 건의문을 채택했다고 26일 밝혔다.
 
채인석 화성시장은 26일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예정지인 화성시 매송면 숙곡1리에서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함께 추진하는 9개 시 자치단체장에게 사업추진 설명회를 열고,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지자체간 협력을 통해 최초로 추진되는 공동형 종합장사시설로 10개 지자체 500만 시민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대규모 시설인 만큼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국·도비 지원의 현실화를 요구했다.
 
또한, 장사시설 건립예정지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어 국토교통부 승인과정에서 행정절차 기간이 길어지는 등 사업지연을 우려해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 수립 및 입지대상시설의 심사 등의 조속한 처리를 요구하는 내용도 담았다.
 
공동형 장사시설 건립에 필요한 예산은 약 1,200억원으로 국·도비 보조는 건축비 기준 화장시설(추정 207억원) 과 봉안시설(추정 20억원) 건축비에 한해 국비 70%, 도비 15%만 지원해고 있어, 이는 총사업비 대비 14%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장사시설에 필수적인 부대시설(진·출입로, 차폐시설 등)의 지원은 전무한 상태로 화성시를 비롯한 10개 자치단체는 현행 국·도비 보조를 건축비 기준이 아닌 총사업비 기준으로 국비 70%와 도비 15%를 지원해 줄 것을 건의한 것이다.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당초 님비시설로 인식되어 유치신청이 저조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후보지 모집결과 6개 마을이 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이끌어내, 해외언론에 까지 보도되는 등 님비현상 극복하는 사례로 소개된 바 있다.
 
화장시설이 없는 10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건립하는 최초 사례인 종합장사시설은 경기 서·남부권 500만 시민들이 이용하게 될 광역 장사시설로 2018년 준공 예정으로 화장시설, 봉안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 및 부대시설 등이 들어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